<p></p><br /><br />정부의 의료정책에 반대하며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오늘 오전부터 속속 업무에 복귀했습니다. <br> <br>공교롭게도 오늘은 후배들인 의대 본과 4학년생들의 의사 국가시험이 시작되는 날이었는데, 대부분 시험을 거부하고 딱 6명만 <br>시험장을 찾았습니다.<br><br>제가 직접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오전 7시가 조금 지났는데요. 오늘부터 서울대병원 전공의들은 업무 현장에 복귀합니다. 얘길 들어보겠습니다. <br> <br>[전공의] <br>아직 저희가 생각하기엔 갈 길이 남아 있다고 생각을 해서 향후에 필요하다면 또 단체행동을 할 수 있지 않을까.<br>교수들은 오랜만에 돌아온 제자들을 반깁니다. <br> <br>[의대 교수] <br>열심히 투쟁을 하고 돌아와줘서 고맙고 약간 아쉬운 결과지만 잘 싸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국가시험을 단체로 거부한 의대생 후배들에 대한 의견은 갈립니다. <br><br>[인터뷰]<br>그거는 당연히 구제를 해야한다고 생각해요. <br> <br>[인터뷰] <br>당연히 (학교로) 복귀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? <br> <br>[인터뷰] <br>(후배들은 국가고시를...) <br>성인으로서 그런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을 했을 것이고 어느 정도 개인의 책임이 있는 부분이 있고... <br> <br>예년 같으면 실기 시험을 준비하는 본과 4학년들로 한창 붐볐을 의대 실습실. <br> <br>하지만 올해는 건물 전체가 텅텅 비어있습니다. <br> <br>[인터뷰]<br>(의대협 차원에서 결정된 게 있는지…) <br>2만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고요. 이를 토대로 오늘부터 대의원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고… <br> <br>이번엔 의사 국가시험이 치러질 서울 광진구 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으로 향했습니다. <br> <br>수험생은 찾아보기 힘들고 취재진만 모여들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오늘 응시자는 총 6명입니다. 축소해서 시험을 합니다. 응시자들이 보호 좀 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와서... <br> <br>국가고시원 직원 여러 명이 밖으로 나오더니, 수험생과 외부인의 접촉이 철저히 차단되도록 함께 들어갑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(직원분들이 같이 들어가 주시는 거예요?) <br> <br>6번째. 마지막 수험생이 들어간 뒤 실기 시험이 시작됐습니다. <br><br>올해 응시자는 전체의 불과 14%. <br> <br>시험 주관 기관은 의대생들이 타협을 해야 추가 응시 기회 가능성도 생길 수 있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이윤상/ 국가시험원장] <br>의사가 되려고 했던 사람들이 시험을 거부해서 못보게 된 게 안타까우니 제발 시험을 보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의사 국가 시험을 <br>관리하는 복지부에 전달이 돼서... <br> <br>[이윤상/ 국가시험원장] <br>의사가 3000명 넘게 배출되야하는데 430명 정도밖에 배출되지 않으면 사회적으로 굉장히 어려운 문제를 일으키거든요. <br> <br>여인선이 간다였습니다.